BIG
1. https://nodejs.org/en/download/ 에서 설치할 패키지를 다운 위치
2. 사용하고자 하는 OS 환경에 맞는 바이너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.
// 다운로드 파일을 저장하여 관리할 목적의 디렉토리 생성 shell> mkdir /usr/local/nodejs/ // 다운로드 디렉토리 확인을 위한 이동수행 shell> cd /usr/local/nodejs/ // 다운로드 경로로 부터 다운로드 수행 shell> wget https://nodejs.org/dist/v6.10.3/node-v6.10.3-linux-x64.tar.xz |
=> 필자는 리눅스를 깊이 아는 사람이 아니다.
그래서...가급적 최소한의 작업으로 처리하기위해 바이너리 버전을 받았다.
바이너리 파일을 받을경우 tar 압축을 푸는것으로 대부분의 설치가 끝난다.
3. 압축을 해제 한다.
shell> tar xvf ./node-v6.10.3-linux-x64.tar.xz |
4 시스템상에서 현재 경로 위치와 상관없이 node 와 npm 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링크 설정
// 디렉토리의 경로는 각각의 시스템 마다 다르며 여기서는 필자의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. shell> ln -s /usr/local/nodejs/node-v6.10.3-linux-x64/bin/npm /usr/bin/npm shell> ln -s /usr/local/nodejs/node-v6.10.3-linux-x64/bin/npm /usr/bin/node |
5. 정상설치 여부 확인을 위한 node -v 실행 버전 출력 확인
shell> node -v v6.10.3 |
- 필자의 경우는 위와 같이 처리하여 완료 되었다.
위 프로세스의 진행일자는 2017 . 05 . 26 이다.
LIST
'!!...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js] - ftp client 구현 샘플 (0) | 2022.10.05 |
---|---|
[nodejs] - puppeteer 환경 구성하기 (0) | 2020.08.25 |
[nodejs] - 웹 페이지 크롤링 티스토리 개인 관리자 로그인 후 캡쳐 - casperjs 모듈 이용 - (0) | 2017.05.30 |
[nodejs] - 웹 페이지 크롤링 샘플 01 - cheerio 모듈 이용 - (0) | 2017.05.29 |
[nodejs] - 정상설치확인 HTTP 접속 샘플코드 - (0) | 2017.05.26 |